클락워크 플래닛/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 0)




클락워크 플래닛 (2017)
クロックワーク・プラネット[br]Clockwork Planet
파일:external/pds21.egloos.com/b0012149_5927e518beda6.png
작품 정보 ▼

장르스팀펑크, 오버홀 판타지
원작카미야 유우
히마나 츠바키(暇奈 椿)
캐릭터 원안시노
감독나가사와 츠요시(長澤 剛)
시리즈 구성스기하라 켄지(杉原研二)[1]
캐릭터 디자인시마무라 히데카즈(島村秀一)[2]
총 작화감독
프롭 디자인하라 토시토모(原 由知)[3]
메카 디자인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세계관 설정스에타케 야스미츠(末武康光)
에다마츠 키요시(枝松 聖)
미술 감독카이 마사토시(甲斐政俊)
미술 디자인쿠보타 마사히로(久保田正宏)
색채 설정미즈노 타에코(水野多恵子)
촬영 감독타케하라 켄지(武原健二)
3D CG후나코시 유키(船越勇貴)
편집마츠무라 마사히로(松村正宏)
음향 감독모토야마 사토시(本山 哲)
음악카네마츠 슈(兼松 衆)
나카무라 하나에(中村巴奈重)
나카노 카오리(中野香梨)
호노 사토시(宝野聡史)
타부치 나츠미(田渕夏海)
음악 제작NBC유니버설 엔터테인먼트 재팬
프로듀서타나카 준이치로(田中潤一朗)
후쿠라 케이(福良 啓)
후루카와 신(古川 慎)
아이지마 고타(相島豪太)
치노 타카토시(千野孝敏)
아이타니 아츠시(藍谷厚史)
애니메이션 프로듀서니시자와 마사토모(西沢正智)
애니메이션 제작XEBEC
제작클락워크 플래닛 제작위원회
TBS
방영 기간2017. 04. 07. ~ 2017. 06. 23.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TBS / (금) 01:58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맥스 코리아 / (수) 00:00
편당 러닝타임25분
화수12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선정성)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시리즈 구성 대표작으로는 시귀가 있다.[2] CHAOS;HEAD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디자인을 담당했다.[3] 카게하라 한조(影原半蔵)의 필명.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5. 주제가
6. 회차 목록
7. 평가



1. 개요[편집]


일본의 라이트 노벨 클락워크 플래닛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나가사와 츠요시, 방영 시기는 2017년 4월.


2. 공개 정보[편집]


2015년 12월 25일, 애니메이션 기획 정보가 최초로 공개되었다. 2016년 12월 22일, 2017년 4월 TBS 계열에서 방영된다는 정보가 공개되었다.

북미에서는 퍼니메이션에서 영어더빙이 되어 2017년 5월 8일부터 방영했다.


2.1. PV[편집]


PV 제1탄

PV 제2탄


3.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클락워크 플래닛/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설정[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클락워크 플래닛/설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편집]



5.1. OP[편집]


OP
clockwork planet
TV ver.
Full ver.
노래fripSide
작사야기누마 사토시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나가사와 츠요시(長澤 剛)
연출
작화감독시마무라 히데카즈(島村秀一)



5.2. ED[편집]


ED
アンチクロックワイズ
안티 클락 와이즈
TV ver.
Full ver.
노래After the Rain
작사마후마후
작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비주얼 컨셉사이토 에이(斎藤 瑛)
콘티
연출
편집
비주얼 이펙트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엔딩의 경우 금영노래방과 태진에 수록되었다.
금영 : 44150 / 태진 : 28685
이후, 리듬게임 maimai MiLK PLUS에 수록되었다.


6. 회차 목록[편집]


  • 전화 총 작화감독: 시마무라 히데카즈(島村秀一)
회차제목[1]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방영일
제1화運命の歯車(ギア・オブ・デスティニー
운명의 톱니바퀴((기어・오브・데스티니)
스기하라 켄지
(杉原研二)
요시카와 히로아키
(吉川博明)
카와사키 유타카
(川崎ゆたか)
시마무라 히데카즈
(島村秀一)
아오하치 요시노부
(青鉢芳信)
日: 2017.04.07.
韓: 2017.04.12.
제2화大支柱崩落(パージ
대지주 붕락((퍼지)
아키토시
(あきとし)
타카타 마사히로
(たかたまさひろ)
오자와 마도카
(小澤 円)
호소다 사오리
(細田沙織)
히라노 에미
(平野絵美)
카와무라 토시에
日: 2017.04.14.
韓: 2017.04.19.
제3화真正面突破(コンフリクト
진정면돌파((컨플릭트)
아오시마 타카시요시카와 히로아키오오니시 켄타
(大西健太)
니시다 미야코
(西田美弥子)
謝宛倩
日: 2017.04.21.
韓: 2017.04.26.
제4화虚数運動機関(イマジナリー・ギア
허수 운동 기관((이매지너리 기어)
코노 타카미츠
(鴻野貴光)
츠쿠시 다이스케
(筑紫大介)
아오하치 요시노부
마츠모토 마사요
(松本昌代)
야마다 테츠로
(山田哲郎)
사이토 다이스케
(斉藤大介)
日: 2017.04.28.
韓: 2017.05.03.
제5화撃滅するもの(トリ―シュラ
격멸하는 자((트리슈라)
스기하라 켄지카와사키 유타카에즈라 히사시
(江面 久)
카라스 히로아키
(烏 宏明)
日: 2017.05.05.
韓: 2017.05.10.
제6화大深度地下層(ディープ・アンダーグラウンド
대심도 지하층((딥 언더 그라운드)
코노 타카미츠하카타 마사토시
(博多正寿)
우에다 시게루
(うえだしげる)
타케야 쿄코
(竹谷今日子)
카토 하츠에
(加藤初重)
日: 2017.05.12.
韓: 2017.05.17.
제7화首都襲撃(アタック・トゥ・マルチプルグリッド
수도습격((어택 투 멀티플 그리드)
아오시마 타카시아키토시쿠사카 나오요시
(日下直義)
노모토 마사유키
(野本正幸)
日: 2017.05.19.
韓: 2017.05.24.
제8화電磁式機動兵器八束脛(ヤツカハギ
전자식 기동병기 팔속경((야츠카하기)
코노 타카미츠하카타 마사토시타카하시 준
(高橋 順)
에즈라 히사시
김해숙
(金海淑)
日: 2017.05.26.
韓: 2017.05.31.
제9화空前絶後の犯罪(クリミナル・アクト
공전절후의 범죄((크리미널 액트)
아오시마 타카시아키토시오오니시 켄타
사사키 타츠야
(佐々木達也)
츠즈쿠 류지
(都竹隆治)
謝宛倩
카타오카 에미코
(片岡恵美子)
사토 코노미
(佐藤このみ)
스기야마 나오키
(杉山直輝)
日: 2017.06.02.
韓: 2017.06.07.
제10화自動人形を繋ぐもの(プログレッサー
자동인형을 잇는 자((프로그래서)
코노 타카미츠요시카와 히로아키안도 타카시
(安藤貴史)
카와무라 토시에
히라노 에미
호조 나오아키
(北條直明)
스기모토 사치코
(杉本幸子)
호소다 사오리
日: 2017.06.09.
韓: 2017.06.14.
제11화天才の理論(セオリー・オブ・Y
천재의 이론((세오리 오브 Y)
아오시마 타카시요시카와 히로아키
나가사와 츠요시
(長澤 剛)
치바 타카유키
(千葉孝幸)
사쿠라이 코노미
(桜井木ノ実)
이이즈미 토시오미
(飯泉俊臣)
츠보타 신타로
(坪田慎太郎)
日: 2017.06.16.
韓: 2017.06.21.
제12화終焉機動(スティール・ウェイト
종언 기동((스틸 웨이트)
스기하라 켄지dojag-a-gen[2]쿠사카 나오요시노모토 마사유키
카츠마타 요시미
(勝亦祥視)
日: 2017.06.23.
韓: 2017.06.28.


7. 평가[편집]


파일:IMG_20190211_155245.jpg
심각한 작화의 예시들 중 하나.

1차 PV에서부터 작화에 대한 우려가 나왔고 2차 PV에서는 애니 장면을 넣지도 않고 내보내는 통에 애니 자체가 저퀄리티 망작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었는데 1화에서 벌써 현실이 되는거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내 커뮤니티에서는 이 애니에 대한 리뷰가 거의 올라오지 않을 정도로 무관심의 끝을 달리고 있다.

일본 현지에서도 작화에 대한 지적이 지속적으로 나오는 중으로, 캐릭터로 먹고사는 라노벨계 애니메이션임에도 캐릭터의 데포르메화가 지나치게 심하다. 1화임에도 불구하고 주인공의 작화보다 주인공이 돌리고 있는 톱니바퀴의 CG가 더 좋을 정도의 비참한 퀄리티. 단, 차후 개선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 지켜보자는 의견도 많았지만, 결국 근본적인 개선점을 찾지 못하고 마지막까지 저퀄리티 작화를 유지했다.

작화는 둘째치고 캐릭터성을 살리거나 보여주는 면이 대거 삭제되었다. 스토리나 연출이 좋지 않은 방식으로 변경되어서 장면들이 밋밋해지거나 삭제된 경우가 많다. 예로 나오토가 귀가 좋다는 것은 원작에서 처음부터 집요하다 싶을 정도로 나오지만 애니메이션은 1화만 봐도 그런 부분이 대거 삭제되고 언급도 잘 되지 않아서 캐릭터 이해에 의아함을 느끼게 된다. 심지어 코어 타워의 이상을 마리와 같은 순간에 느끼는 장면을 넣어서 마리와 동급의 귀로 오해할 여지까지 준다. 나오토의 귀가 스토리와 각종 설정에 얼마나 깊게 영향을 끼치는 지를 생각하면 오리지널 전개와 설정까지 의심할 수 있어 보인다.

2화에서 캐릭터들의 작화가 나아진 모습을 보이고있다, 1화에 비하면 꽤 손을 좀 본 모양이다. 작화가 좋다고는 못 하지만 나쁘지도 않은 상황. 다만 빠른 진행을 위해서인지, 주인공 나오토의 캐릭터성이 드러나는 부분들이 몇몇 생략되었다.

연출도 발연출이라고 할만한데 원작에서 류즈의 허수운동기관으로 반중력을 발생시킬 때 핼터가 나오토와 마리의 조합이 신에 필적하지 않을까 경외심을 느낄 정도인 것으로 표현하지만 애니에서는 나오토는 가만히 있고 마리가 급하게 기계 좀 뚝딱거리는 수준으로 변했는데 거기에 있지도 않은 류즈의 심리묘사로 분량을 끼워넣었다.

여러모로 처참한 망작이라는 평이 많다. 오프닝의 경우에는 반정도를 애니메이션에 나온 장면들을 썼는데, 이게 매 화 방영분에서 편집한 것이 아니라 애니메이션 중후반부까지의 내용중 일부를 편집해서 채워 넣어놨다. 그나마 10화에서부터 오프닝 장면이 바뀌었는데 이마저도 10화에서 12화까지의 장면 중 일부를 편집해 넣어논 것.

애니메이션에 나온 장면들 중 그나마 호평인건 톱니바퀴 CG인데, 1화에 화려하고 자주 등장한 여러 톱니바퀴들에 비해 화를 거듭할수록 디자인도 단순해지고 그 수마저 줄여나가고 있다.

결국 BD 1권 판매량은 721장으로 집계되어 깔끔하게 망했다. 사실 여론을 생각하면 당연한 수준이다.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쿠사카 나오요시의 필명.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클락워크 플래닛 문서의 r4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클락워크 플래닛 문서의 r4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1 13:48:31에 나무위키 클락워크 플래닛/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